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PC버전 카카오톡 페이스톡 하기

카테고리 없음

by 잠온드아 2017. 8. 22. 09:00

본문

반응형

우리는 스마트폰 메신저로 카톡을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pc 버전에서도 이용할 수 있어서 다방면으로 잘 활용을 하고 있는데요. 제가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도 얼마전까지만 하더라도 카톡으로 출퇴근 체크를 하고 했었는데 최근에는 더이상 하지 않고 있어요. 쓸데 없는 얘기 이긴 하지만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죠.


다른 곳에서 먼저 시작을 했지만 음성 채팅과 화상 채팅을 뜻하는 보이스톡 그리고 페이스톡이 존재를 합니다. 일반적으로 pc 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걸로 알고 있지만 사용 가능 합니다.



pc 버전에서도 일반 스마트폰 버전과 동일하게 상대의 프로필 사진을 선택을 하시고 무료 통화 버튼을 누른 다음에 진행을 할 수가 있습니다. 물론 pc 버전 카카오톡 페이스톡 이라고 해서 별다른 건 없는데요.



한가지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스마트폰에는 카메라가 다 있지만 pc 에는 없을 수도 있다는점 웹캠이 없다고 한다면 절대(?) 이용을 하실 수가 없습니다.



프로필 창에서 무료통화를 누르게 되면 보이스톡과 페이스톡이 나오게 되고 페이스톡을 누르시면 됩니다. 그리고 채팅중에 보시게 되면 화면 아래쪽에 통화 버튼이 있는데요. 이것을 눌러서 역시 보이스톡이나 페이스톡을 진행 할 수 있습니다. 보이스톡의 경우에는 마우스만 있으면 가능할 수 있을거 같은데요.


face talk 는 당연하게도 카메라가 있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노트북의 경우에서는 또 기본적으로 카메라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설정을 할 필요 없이 진행 할 수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카메라가 없기 때문에 위와 같은 error code =-104 라고 하는 에러코드가 발생 할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카메라만 있으면 되는건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웹캠이 윈도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드라이버가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하고 마이크 역시 연결이 되어 있어야 정상적으로 화상 채팅을 할 수 있게 되는거죠. 목소리도 들을 수 말할 수 있게 되구요.



대부분의 경우 카메라가 연결이 되어 있다면 그냥 pc버전 카카오톡 페이스톡 을 진행하게 되면 짧은 대기 시간 이후에 정상적으로 사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개의 카메라 장치가 검색이 되게 된다면 위와 같이 설정으로 이동을 해서 카메라 장치를 선택을 해주셔야 정상적으로 페이스톡을 진행 할 수 있을 겁니다.



설정에서 통화 탭으로 이동하시게 되면 아래쪽에 카메라 설정 이라고 되어 있는 것이 있어요. 장비 선택에 시스템 기본 카메라 라고 되어 있는데 대부분의 노트북에 장착 되어 있는 웹캠은 별도의 설정없이 이용가능 합니다.


앞서 설명드렸듯이 다양한 장치가 있거나 여러개의 드라이버가 설치 되어 있다면 변경 버튼을 눌러서 face talk 를 할 수 있도록 선택만 해주시면 끝이 날거 같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