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엑셀에 대한 기능중 한가지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엑셀로 다양한 문서를 만들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수치 계산이나 적용등을 할 때 많이 사용하시게 되는데요. 백원, 천원 단위로 딱딱 떨어지게 되면 별다른 고민을 하지 않아도 되는데 국민연금 등 세금 이 들어가는 급여대장이나 계산 등을 하실 때에는 소수점이 발생을 해서 귀찮을 수가 있으실 겁니다.
그럴때에 일일이 소수점을 뗄 수는 없을 거고 간단한 방법으로 엑셀 소수점 버림 하거나 올림 그리고 반올림 등으로 작성을 하실 수가 있으신데요. 지금 부타 함께 알아보도록 할게요.
일반적인 방법으로 소수점을 없애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와 같이 기똥찬 군의 국어, 영어, 수학의 평균점수를 구하는 식을 만들어 보았는데요. 계산을 해보니 평균 78.66667 이라는 수가 나왔습니다.
소수점이 나오도 보니 읽기도 힘들고 별로 보기에도 안좋아 보이는거 같은데요. 이럴때에 기본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하는 것인데요.
소수점이 나오는 셀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게 되면 하부 메뉴들이 위와 같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이곳에서 메모 삽입 바로 아래쪽에 있는 셀 서식 (F) 라고 되어 있는 항목을 선택을 해주시면 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창이 하나 딱 나타나게 되실 거예요.
셀 서식에서 표시형식 탭을 선택해주시고요 아마 기본으로 설정이 되어 있을 겁니다. 그리고 범주에서는 숫자라고 되어 있는 항목으로 이동을 해주시면 되십니다.
우측에 보기라고 되어 있고 소수 자릿수를 설정 할 수 있는 부분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이곳을 0으로 설정 하시게 되면 소수점 아래에 있는 숫자는 다 사라지게 됩니다. 하지만 우리가 하고자 하는 엑셀 소수점 버림 은 되지 않는데요.
우리가 계산했던 부분이 78.66667 이였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버림을 했다면 소수점이 없어져서 숫자가 78이 나와야 합니다. 하지만 지금 보시는 대로 79 라고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하실 수가 있으신데요. 평균 79는 반올림이 된 수치기 이기 때문에 정확한 버림은 아닙니다. 지금 보시는 방법은 엑셀 소수점 반올림이 되는 것이죠.
그럼 버림은 어떻게 하는 것일 까요.
위와 같은 수식이 만들어 지면 되는데 기존에 (F5+G5+H5)/3 이라는 부분에서 앞에 라운드 함수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보시는 대로 =ROUNDDOWN(수식,숫자) 를 입력해주시면 되시는데요. ROUNDDOWN 은 소수점을 버리는 것이고 UP은 무조건 올림을 하는 것입니다. 반올림을 하게 되면 그냥 ROUND(수식,숫자)를 해주시면 되시구요.
그럼 뒤에 있는 숫자 부분은 무엇이냐면 숫자가 0이면 0자리수 아래에 있는 것은 버림 혹은 올림 혹은 반올림을 한다는 뜻이 되는거죠. 만약 -1 을 하게 되면 10원 단위까지 나오게 되고 그냥 1을 하게 되면 소수점 한자리 까지 표시를 하게 된다는 것 입니다.
우리는 현재 1단위 까지 보여주게 하기 위함으로 보시면 되시겠습니다. 아까는 79가 나왔지만 지금은 78로써 엑셀 소수점 버림 이 완성이 되는 것을 보실 수가 있으실 거예요. 만약 천원단위 까지 절사(?) 를 한다고 하시게 되면 -3을 입력하면 됩니다.
자세히 모르실 수가 있으신데요. 이부분은 조금씩 해보시면 금방 적응 하실 수 있으실 거예요.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시고 원하는 정보를 찾으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