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부터 pc 구매시에 윈도우10이 기본이 되고 있습니다. 여전히 윈도우7을 이용하시는 분들이 많이계신데요. 그래서 윈도우10으로 넘어오게 되면 비슷하지만 왠지 생소하다고 생각이 되는 것들이 많이 있을 겁니다.
예전에는 제어판에서 대부분의 기능을 확인하고 설정을 할 수 있었는데 윈도우10에서는 윈도우 설정이라는 부분에서 활용이 가능 합니다. 물론 제어판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는데요. 일단 이번시간에는 윈도우10 절전모드 해제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할게요.
일단 윈도우 시작 버튼을 눌러서 보시면 좌측에 전원버튼 바로위에 톱니모양의 아이콘이 있는걸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이곳에 마우스를 올리게 되면 설정이라고 보여지게 됩니다.
여기를 클릭 하시게 되면 아래와 같은 윈도우 설정 창이 보여지게 되실 거예요.
그럼 첫번째 나오는 메뉴에 시스템 (디스플레이, 알림, 전원) 이라고 된 곳이 보이실 거예요. 이곳을 클릭해서 다음 화면으로 이동을 하시면 됩니다.
왠지 낯익은 느낌이죠? 제어판에서 들어왔을때에도 시스템 으로 이동후 전원 및 절전 이라고 하는 메뉴로 이동을 하시면 됩니다. 지금은 윈도우 설정으로 들어가고 있지만 윈도우10 에서도 제어판이 그대로 존재를 하고 있습니다. 어디서 찾는지는 다른 게시물을 확인하셔도 금방 알아보실 수 있으실 거에요.
전원 및 절전 으로 이동을 하셨다면 화면, 절전 모드 라고 하는 부분이 보이게 되는데 화면은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고 가만히 두면 자동으로 꺼지는 시간을 설정 하는 부분 입니다.
그리고 절전 모드는 역시 사용을 하지 않고 가만히 두면 컴퓨터의 전원이 꺼지는 것인데 완전히 꺼지는 것은 아니고 절전 상태로 들어가서 하드디스크가 쉬게 되는 것이죠. 이를 해제 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선택해서 없음 이라고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아니면 5시간 등 긴 시간으로 해두시는 것도 좋을거 같네요.
윈도우10 업데이트 상황에 따라 다른데 관련 설정 (추가 전원 설정) 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아래쪽이나 우측에 별도의 화면으로 보여질 수 있는데요. 이곳을 클릭 하시게 되면 제어판으로 이동을 해서 전원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기능을 윈도우 설정에서 할 수 있지만 여전히 제어판을 이용하시는 것이 편하신 분들을 위해 윈도우10 절전모드 해제 도 예전 방식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하셔서 이용하시면 좋을거 같네요.